찾아오시는길 사이트맵 메일보내기
 
 
 
  2159   829
  운영자   2013-02-19
  [해설] LPG판매업의 중소기업 적합업종 선정 의미

대기업의 판매업 진출 억제역할 기대

수입·정유사 임대충전소 제외, 실제적 효과 의문
업권보호에 안주하기보다 산업의 생존전략 찾아야

최근 동반성장위원회가 16개 중소기업 적합업종에 대한 지정권고를 하면
서 LPG판매사업도 포함시켜 LPG업계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도시가스의
침탈로 LPG의 판매물량이 계속 줄어들면서 결국 프로판 충전 및 판매사
업자 간 영역을 침범하는 사례까지 생기자 LPG판매사업자 단체인 한국LP
가스판매업협동조합연합회가 나서 이 같은 성과를 거둔 것이다. LPG판매
사업자들은 생존권 보장을 외치며 동반성장위원회에 중소기업 적합업종
선정을 요구했으며 결국 어렵사리 지정을 받게 됐다. 이에 LPG판매업의
중소기업 적합업종 의미와 앞으로의 전망 등을 살펴봤다.

선정 배경
지난해 몇몇 지역의 프로판충전소가 소비자들에게 가스를 직접 판매하
는 사례가 생겼다. 현재는 다행스럽게 대부분 화해모드로 돌아섰지만 충
남 서산을 비롯해 경기도 가평, 전북 익산, 제주도, 대구지역 등에서 일
부 충전소들이 소비자직판을 하기도 했다. 충전소의 소비자직판이 시작
된 원인은 △LPG판매소의 거래처 이탈 △용기관리비 문제로 인한 갈등
△충전단가 문제 등 다양했으며 특히 유통사업자들 간 힘 싸움으로까지
번지면서 서로 피해만 보는 경우가 대다수였다. 때문에 어느 정도 시간
이 지나면 해결되는 양상으로 가고 있다.

하지만 LPG판매사업자들은 충전소직판이라는 것에 대해 언제나 불안한
마음을 가지고 있었으며 최근의 사회적인 분위기가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상생을 강조하는 시기인 만큼 제도적인 보호를 원하게 된 것이다. 이
에 동반성장위원회도 대기업에서 용기에 충전된 LPG를 일반소비자에게
소매하는 사업에서 철수하는 것을 권고했으며 해당 산업에 대기업의 신
규 진입자제를 요청했다.

아쉬운 점은
동반성장위원회가 이번에 선정한 적합업종은 △서적 및 잡지류 소매업
△제과점업 △중고자동차판매업 등으로 실제로 피해가 심각한 업계다.
반면 LPG판매업소의 경우 사실 대기업에서 직판하는 사례가 거의 없는
실정인데다 이번 조치는 권고사항에 그쳤다. 특히 한국LP가스판매조합에
서는 이번에 대기업 계열의 프로판충전소도 모두 포함시키려고 했으나
아쉽게도 동반성장위원회로부터 인정을 받지 못했다. 따라서 현재 기준
으로 대기업의 충전소에서 직판을 하는 사례는 대구에 있는 대성산업 소
유의 충전소 한곳에 불과하다.

현재 LPG유통업계는 도시가스 등에 맞서기 위해 충전소와 판매업소 간
컨소시엄을 통한 유통구조 합리화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LPG판매업소의 중소기업 적합업종 선정은 이 같은 흐름에 역행하는 느낌
이 짙다. 다만 현재 LPG판매사업자들이 충전소와 컨소시엄 형태로 운영
하는 게 나은 것인지, LPG판매사업의 업권을 보호하는 게 우선인지를 두
고 심히 고민하고 있는 실정에서 당장 취할 수 있는 조치를 한 만큼 이
를 확대해석할 이유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의 전망
앞에서 살펴본 대로 대기업에 국한해 직판을 하지 못하게 됐다 치더라
도 LPG판매업소가 중소기업 적합업종으로 선정된 것 자체가 의미가 있
다. 즉 직접적인 언급은 없었지만 대기업 계열의 임대충전소에서 직판
을 나설 때 어느 정도 신경을 쓰지 않을 수 없을뿐더러 LPG판매사업자
입장에서는 이번 지정을 근거로 충전소직판을 강도 높게 비난할 수 있
게 됐다.

특히 LPG판매사업자들도 중소기업 적합업종으로 선정됐다는 것에 안주하
기보다는 LPG유통구조의 효율화를 위해 벌크공급의 활성화를 비롯해 효
율적인 용기관리 방안, 유통시스템의 선진화 등에 적극 나서야 할 것으
로 보인다. 왜냐면 어차피 LPG 물량이 감소하고 있는 실정에서 LPG판매
업소의 영역만 지킨다고 해서 결코 살아남을 수 없기 때문이다.




<한국가스신문>